프로그래밍/JAVA

[JAVA] 자바 산술 연산자 과 단항 연산자

ro-co 2022. 10. 9. 09:42

안녕하세요 로코입니다.😃

 

자바 프로그램에서 숫자 타입 변수의 경우 연산 기능할 수 있는 산술 연산과 단항 연산자에 대해 준비해 보았습니다.

 

산술 연산 종류

int a = 10;
int b = 5;
int c;
종류 기호 예)
대입 연산자 = c = a + b;
덧셈 연산자 + System.out.println(a + b);
뺼셈 연산자 - System.out.println(a - b);
곱셈 연산자 * System.out.println(a * b);
나눗셈 연산자 / System.out.println(a / b);
나머지 연산자 % System.out.println(10%3);

 

Tip 연산자 우선순위 

우선순위 연산자
0 () 괄호속 연산자
1 산술 연산자( *, / ,%)
2 산술 연산자(+ , -)

 

※나머지 연산자

대입 연산자와 산술 연산자는 우리가 배우는 수학과 같아 이해가 어렵지 않지만 나머지 연산자는 많이 생소하실 겁니다.

쉽게 풀어본다면 자바는 자료형이 다르면 컴파일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료형이 정수 일 경우 정수로 표현이 되는데요 

예를 들어 10을 3으로 나누면 수학적으로는 3.3333333...이라는 답이 나오지만 자바에서는 정수는 정수로 표현이 되기 때문에 답은 3이 나오게 됩니다. 그럼 10을 3으로 나누게 되면 1이 남게 되잖아요?

바로 나머지 연산자가 수를 나누고 남은 수 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10 % 3 은 1이 됩니다.  

 

 

단항 연산자

int a = 10;
int b = 5;
종류 기호
양수 연산자 + a + 1;
음수 연산자 - a = -a;
증가 연산자 ++ a++;
감소 연산자 -- a--;
부정 연산자 ! !a

음수 연산자 : 수를 음수로 변경합니다.

System.out.println( -a ); // -10 출력

 

증감 연산자 : 어떤 변수의 수를 하나 증가 또는 감소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int a = 10;
int b = 5;
a++;
b--;

System.out.println( a ); // 11 출력
System.out.println( b ); // 4 출력

※주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파일을 읽어 들이는 방식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기 때문에 증감 연산자의 위치에 따라 출력되는 값이 변경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System.out.println( a++ ); // 10 출력
System.out.println( a ); // 11 출력

System.out.println( b-- ); // 5 출력
System.out.println( b ); // 4 출력

위와 같이 미리 선언하지 않고 출력 메서드에서 사용 시 증감 연산자가 변수 뒤에 붙게 되면 증감의 명령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기존 변수의 값이 출력됩니다.

System.out.println( ++a ); // 11 출력
System.out.println( --b ); // 4 출력

변수 앞에 증감 연산자가 위치할 경우 증감 이후의 변숫값이 출력됩니다.

 

 

부정 연산자 : 논리 연산 값이 온다는 전제하에 논리 값을 뒤집는 연산자입니다.

boolean a = true;
System.out.println( !a ); // false 출력

 

 

그럼 또 좋은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